3기 김호진 | IT 개발자


Interview

Q. 자기소개를 부탁드리겠습니다.

A. 지금 하는 일은 IT 개발자로 금융회사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원래는 기계공학을 전공했지만 금융과 연결된 IT 분야가 유망하다는 생각을 해서 이 쪽으로 커리어를 옮기게 되었습니다. 정치에 대한 관심은 코로나 때 많이 생기게 된 것 같아요. 하나의 바이러스를 통해 사회 전체가 비대면 상황에 들어가면서 제 자신도 혼자서 생각할 시간이 많아지게 되었어요. 당시 뉴스레터 같은 서비스들을 통해 사회적 지식과 맥락에 대해서도 좀 더 공부하게 되었고 그것이 정치에 관한 관심으로 이어진 것 같습니다.

Q. 개인적 답답함이 쌓여 사회적인 관심으로 표출된 것 같으신데 어떤 것이 그렇게 답답하셨나요?

A. 직장을 얻기 전에도 개인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도 서로 연결되지 않는 것 같은 느낌을 많이 받았어요. 직장을 얻고 난 후에는 그 느낌이 더욱 더 강해졌다고 봐야할 것 같아요. 제가 이 느낌은 언어화해서 표현하는 정도까지 가지는 못했지만 자연스럽게 이것이 내 개인의 문제라기 보다는 그것보다 더 큰 집단의 혹은 구조의 문제일 수 있겠다는 생각을 본능적으로 자각했었던 같아요. 그 지점이 제가 정치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반전을 신청하게 된 계기와 연결되는 것 같습니다.

Q. 반전에 오시기 전 기대와 경험 하신 후의 느낌은 어떤 차이가 있으신가요?

A. 기대와는 달랐던 점은 제 생각보다 강의 비중이 더 높았어요. 물론 커뮤니티 활동이나 과제도 많았지만 전체 프로그램은 강의가 끌고 간다는 느낌이 강했어요. 강사에 따라서 참여를 적극적으로 요청하시는 분도 있었지만 소극적 분들도 함께 있었어요. 그러다보니 제가 준비가 부족하거나 관련 지식이 없을 때에는 좀 버거운 면도 있었던 것 같아요. 반면에 제가 기대한 것들이 충족된 부분은 동기들과의 소통 부분이었던 것 같아요. 제가 가진 답답함을 동기들과의 대화 안에서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었고 그것을 언어화하는 시도로 연결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Q. 반전에서의 가장 좋았던 수업 하나만 골라서 말씀해주신다면?

A. 가장 기억에 남은 시간은 장혜영 의원님이 진행한 ‘페미니즘과 민주주의’라는 수업이었어요. 장혜영 의원님은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수강생 개개인에게 민주주의자인지 혹은 페미니스트인지 만약 그렇다면 어떤 식으로 그 단어들을 정의하고 있는지를 물어봤어요. 계속 질문을 주고 받는 즉문즉답 형식으로 수업이 진행되었고 수업이 끝나고 나서도 그 논쟁 혹은 토론이 계속 진행되었어요. 물론 그 것이 지식을 전달하는데 성공한 강의냐에 대해서는 함께 이야기를 해볼 필요가 있겠지만 제 기준에서는 그 자체가 굉장히 신선했어요. 그래서 가장 기억에 남아요.

Q. 그러면 반전의 과정을 통해서 본인이 변화했다고 느낀 지점이 있을까요?

A. 사실 저는 그 전에는 제가 이런 코스에 지원해도 될까 하는 생각을 많이 했었어요. 어떻게 보면 그런 부분에 있어서 자신감이 좀 부족했던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런데 반전의 과정을 거치면서 내가 가지고 있는 생각을 자기검열 없이 그대로 말해도 된다는 것에 대한 자신감이 좀 생긴 것 같아요. 아무래도 그 전에는 내가 사회적 발언을 했을때 사람들을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일까에 대한 부분도 함께 고민을 했었던 것 같은데 지금은 그런 부분에 대해서 용기를 조금 더 얻은 것 같아요. 강의 프로그램에서 얻는 지식적인 용기일수도 있고 동기들과의 소통에서 얻은 관계적인 용기일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Q. 반전에 대해서 총체적인 평가가 궁금하고요. 앞으로 반전은 어떻게 바뀌었으면 좋겠는지도 여쭤보고 싶습니다.

A. 어려운 질문인데요. 우선 앞으로 제가 반전에 바라는 것부터 말씀드린다면 지금이 굉장히 중요한 타이밍인 것 같아요. 반전3기로 시즌 1를 마무리했다는 것이 ‘반성과 비전’이라는 프로그램 모토와 같이 지난 것에 대한 반성에서 다음 것의 비전을 이야기해볼 수 있는 시기라는 것을 의미하잖아요. 그래서 저는 ‘지금이 반성의 시간이다.’라는 생각을 하고요. 제가 어떤 방향성을 제기하거나 새로운 그림이 있는 것은 아니고요. 다만, 반전이 그동안 주장해온 것을 스스로에게 적용하고 증명해야 하는 시간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Q. 마지막으로 스스로 꿈꾸는 본인의 미래에 대해서 말씀해주신다면?

A. 특별하게 제가 딱 정해놓은 미래가 있다고 말씀드릴 수는 없을 것 같고요. 우리나라 정치가 더 나아질 수 있는 일에 조금이나마 기여를 하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그게 제가 하고 있는 IT영역일수도 있고 하지만 일반 시민으로서의 일일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사회에 대한 시선을 열어놓은 채로 앞으로의 커리어와 저의 일상을 발전시켜보고 싶습니다.

 
Previous
Previous

3기 장윤수 | 대학생

Next
Next

3기 장호철 | 지방의회 정책지원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