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기 최웅주 | 지방자치연구소 ‘사계’ 대표


Interview

Q. 자기 소개를 부탁드리겠습니다.

A. 제가 할아버지 영향을 많이 받았어요. 할아버지께서 이북 출신이시고 전쟁에 참여하신 유공자셨어요. 이남에서 새로운 고향, 공동체를 만들고 싶은 생각이 강하셨어요. 지역에서 많은 활동을 하셨고 저에게도 많은 가르침을 주셨어요. 그러다보니깐 자연스럽게 세상을 위한 전공을 선택하고 싶었고 그래서 정치학을 전공하게 되었어요. 정치학을 전공하면서 여러 포럼에서 글을 썼어요. 그 글이 사람들에게 조금 알려졌고 저도 사회 참여에 대한 열정이나 욕망이 생기는 것을 느꼈어요. 그래서 바른정당에 입당을 하게 됐고 정당 활동도 열심히 했었어요. 저는 기본적으로 보수적 성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 이후에도 보수 정당 안에서 계속 활동을 하게 되었습니다.


Q. 보수라는 가치에 대한 질문을 드리고 싶어요. 최웅주 님이 생각하시는 보수란 무엇일까요?

A. 보수란 공동체가 쌓아온 질서와 가치를 책임있게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힘이라고 생각해요. 급진적 변화보다는 점진적이고 예측 가능한 진보를 추구하고 자유와 책임을 균형을 잡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가 보수라고 생각해요. 보수주의 자체를 진보를 이루는 또다른 방법론이라고 생각하고 있고요. 과거를 붙잡고 그것을 지키려고 하는 것을 ‘보수’라는 규정하는 것에는 저는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저는 보수는 인간의 욕망과 본능을 어느 정도 존중하고 인정한다는 점에서 더 인본주의적인 가치에 생각합니다.

Q. ‘반전’에 오시게 된 계기도 궁금해요.


A. 저는 기본적으로 반골 기질이 있어요. 제가 1기 수료생 중 박지현 님과 어렸을 때부터 알고 지낸 지인이었어요. 그 분에 대한 ‘반전’에 대한 소개를 받게 되었는데 사실 저랑 ‘반전’이랑 그렇게 딱 매치가 되는 조합이 아니잖아요. 그런데 아까 말씀드렸다시피 제가 반골 기질이 있으니까 그 선입견에 도전을 해보고 싶더라고요. 그래서 몇가지 정보를 알아보고 바로 신청을 하게 되었습니다.

Q. 우선 ‘반전’에서 가장 좋았던 기억을 여쭤볼께요.


A. 저는 강의보다도 사람들과의 교류했었던 순간이 좋은 기억으로 남아있어요. 우선 제가 있었던 영역에 분들과는 너무 다른 분들이 많았고 그거 자체에는 저에게는 새로운 경험이었어요. 수업 시간이나 토론 시간 중에 그 전에도 한번도 들어본 적 없었던 주장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고 고민해보고 또 저의 의견을 이야기해야 되는 경우도 많았는데 그 자체가 저한테는 새롭고 의미있었던 경험이었던 것 같아요.

Q. 그러면 불만이 있었던 부분은 없었어요?


A. 꼭 이야기하고 싶은 부분이 제 입장에서는 커리큘럼에 다양성이 좀 더 많았으면 좋겠다고 느꼈어요. 우선 보수 진영의 담론에 대한 소개가 진보 진영의 담론에 비해 부족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고요. 그것은 결국 반전 프로그램을 신청하는 수강생들과도 연결되는 것 같아요. 앞으로 이런 부분이 더 강화된다면 진보 담론과 보수 담론을 비교하면서 조금 더 입체적인 내용의 토론을 해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Q. 마지막으로 앞으로 어떤 미래를 꿈꾸고 계신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A. 저는 한국 정치가 진영적인 사고에 갇혀있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그 구조에 균열을 낼 수 있는 어떠한 일이라고 해보고 싶은 마음이 있어요. 저는 이 문제가 우리 정치권의 모든 문제의 근원이 되는 일종의 출발점을 생각을 가지고 있고 실제로 지난 몇 년동안 그것을 경험하기도 했습니다.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한 이상 그냥 지나칠수는 없을 것 같아요. 앞으로 이 문제의 해결에 제 정치 인생을 걸어볼 생각입니다.

 
Previous
Previous

2기 임현수 | 인간:지능연구소 H:AI 대표

Next
Next

2기 손지민 | 국회의원실 보좌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