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기 손지민 | 국회의원실 보좌진


Interview

Q. 자기 소개를 간단하게 부탁드립니다.

A. 대학에서 정치외교학을 공부했고 졸업 후에 첫 직장이 국회였어요. 잠시 청와대에서도 일했었어요. 그리고 나서 슬럼프를 맞이했던 것 같아요. 제가 선망하는 곳에서 일하는 경험을 했고 또 되고자 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너무 일찍 봤고 저의 기대보다 그 모습이 너무 현실적이었기때문에 제가 앞으로 정치를 하는 것이 맞을까 하는 생각을 한동안 했던 것 같아요. 그래서 다른 직업들도 알아보고 또 경험도 해봤어요. 그런데 그렇게 정치와 거리를 두니깐 거꾸로 정치만이 줄 수 있는 매력에 대해서 더 많이 생각을 하게 되더라고요. 그래서 결국 다시 돌아오게 되었어요. 어떻게 보면 그 시작점이 반전 프로그램에 신청한 것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Q. ‘반전’을 어떻게 알게 되었는지와 오기 전과 온 후에 ‘반전’에 대한 이미지가 바뀐 것이 있는지 알려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A. ‘반전’은 1기 때부터 사실 알고 있었어요. 1기 수료생이자 2기 프로그램 운영자였던 배강훈 디렉터의 초대를 받아서 오픈하우스에도 왔었어요. 그런데 처음에는 제가 이 프로그램에 참여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았어요. 왜냐하면 모집 요강에 선출직 정치인을 양성하는 프로그램이라는 설명이 있었는데 저는 선출직이 되고 싶다는 꿈을 가진 적이 없었거든요. 그리고 초당적이라는 설명이 있기는 했지만 그 내용이 구체적이지는 않았던 것 같아요. 초당적이라는 것이 어떻게 보면 지향점이 없다는 뜻으로 들릴 수도 있잖아요. 그래서 지원하지 않았었는데 2기 때는 1기 때와는 조금 달랐던 것 같아요. 물론 제 상황이 달라지기도 했지만 모집 요강 자체가 선출직 자체에 초점이 맞춰지기 보다는 정치 전반에 관심이 있는 분들도 함께 할 수 있다는 내용이 있어서 용기를 내게 되었어요. 처음에 반전을 봤을때는 이름이 알려진 정치인을 위한 공간이라는 생각이 들었었는데 막상 1기 수료생들을 보니깐 저와 비슷한 경험을 하신 분들도 많이 있었어요. 무엇보다 같은 동종 업계에 있는 친구들을 만나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었고 그런 경험을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Q. ‘반전’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의미가 있었던 기억을 이야기한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A. 좋았던 기억과 의미있는 기억이 조금 다른데요. 저는 제 자신을 다른 사람에게 많이 드러내는 사람이 아니었거든요. 그래서 제 자신에 대해서 공개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항상 느껴왔었어요. 특히, 마이크를 잡고 무대에 올라가서 스피치를 해야 하는 경우는 최대한 피해왔었어요. 그런데 ‘반전’에서는 그것을 꼭 해야 했었거든요. 3분 스피치의 형태로 ‘내가 왜 정치를 하는가?’에 발표를 해야 했고 정말 많은 고민을 하면서 준비를 했던 것 같아요. 그것 외에도 몇번의 기회가 있었는데 제 자신을 공개적으로 표현한다는 경험 그 자체가 저한테는 큰 의미로 다가왔어요.

Q. 그러면 ‘반전’에서 가장 좋았던 기억을 여쭤볼께요.


A. ‘반전’이라는 공간이 주는 안정감이 있었어요. 그래서 제가 좀 더 저의 이야기를 꺼내놓을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설명하기가 쉽지 않은데 그냥 제 자신이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공간이라는 느낌이 있었어요. 유승찬 선생님이나 이진순 선생님도 그런 말씀을 많이 해주셨고 그래서 이야기 할때 좀 더 자신감을 가졌던 것 같아요. 그리고 무슨 이야기를 했는지는 정확하게 기억이 나지 않지만 수업 끝나고 뒤풀이해서 함께 수다를 떨었던 기억이 정말 좋은 기억으로 남아있어요.

Q. 그러면 불만이 있었던 부분은 없었어요?


A. 우선 수업이 너무 많았어요. 그리고 수업 자체도 시간이 너무 길었어요. 그리고 수업이 조 별로 진행되다 보니깐 다양한 사람들과 이야기하지 못했다는 것이 아쉬워요. 다른 조에 계신 분들하고도 소통을 하고 싶었는데 그게 생각보다 쉽지 않았어요. 그런 부분이 지금 와서 생각해보니 좀 아쉬운 것 같아요.

Q. 이후에 반전 프로그램은 어떻게 발전했으면 좋겠는지에 대한 생각도 궁금합니다.


A. 교육 프로그램보다는 커뮤니티 프로그램이 더 강화되었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교육 프로그램 내에서 수업에 대해서 토론을 할 수 있는 시간이 좀 더 늘어났으면 좋겠어요. 저는 반전에 사람을 만나러 왔다고 이야기할 수 있어요. 그런데 사람을 만나고 그들과 소통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잖아요. 저는 그 지점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생각해요. ‘반전’이 사람이 모이고 소통이 시작점이 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 같아요. 구체적으로 그 방법론을 이야기하기는 쉽지 않지만 그 목표는 명확하게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Next
Next

2기 장지웅 | 인간:지능연구소(H:AI) 사무국장